비트코인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이란?
블록체인은 분산형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퓨터에, 암호 기술을 조합해 거래 정보등의 데이터를 동기화해 기록하는 기술입니다. 일정 기간의 거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정리해 컴퓨터끼리 서로 검증하면서 올바른 기록을 체인(사슬)과 같이 이어 축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 불립니다.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폐(암호화폐)에 이용되는 기반기술입니다.

블록체인의 특징
블록 체인의 특징은 일부의 컴퓨터로 거래 데이터를 변경해도, 다른 컴퓨터와의 검증과정을 통해 거래 데이터가 올바른지 선별됩니다. 따라서 기록의 조작이나 부정 거래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거래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는 대규모 컴퓨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컴퓨터를 분산형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는 것 또한 특징입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은 특정 관리자가 없어도 거래 데이터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중앙집권(디센트럴리제이션: decentralization)의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구조
블록체인의 구조는 블록이라 불리는 데이터의 단위를 생성하고 시계열을 따라 체인처럼 연결해 나감으로써 저장됩니다. 각 블록은 연결된 블록의 하나 전의 해시 값(해시 함수에 의해 계산된 값)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기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
블록 체인 기술은 과거에 생성된 블록 내의 정보를 조작하려고 시도했을 경우, 변경한 블록에서 산출되는 해시 값은 이전의 것과 달라지기 때문에 후속의 모든 블록의 해시 값을 변경해야 한다는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변경은 사실상 곤란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은 조작하기 어려운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그 밖에 피어 투 피어(P2P: Peer to Peer), 공개키 암호 등의 암호화 기술, 비트코인 등에 이용되는 프루프 오브 워크(PoW: Proof of Work) 등 컨센서스 알고리즘, 스마트 컨트랙트 등 여러 기술이 집약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 분류
블록체인을 크게 분류하면,
1.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2.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3.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이 있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이 허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퍼미션리스(permission-less)인데 반해,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퍼미션(허가)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크게 다릅니다.

블록체인 사례
블록체인의 사례로는 단순 암호화폐뿐 아니라 결제와 송금, 증권거래 등 금융업계, 포인트 관리 등 소매업계, 부동산업계, 공급망, 트레이서빌리티 등 물류업계와 유통업계, 전자차트나 처방전의 접수 등 의료업계, 아트작품의 소유권과 음악저작권의 관리 등 엔터테인먼트업계 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